티스토리 뷰
대구공항 일본 방콕 국제선 노선 조회
대구공항 국제선 노선 조회하기 ▶
대구국제공항은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군사적 기능과 민간 항공기 운항이 함께 이루어지는 복합 공항입니다. 이 공항은 경상도 지역의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구뿐 아니라 인근 경산, 영천 지역에서는 차량으로 30분 이내에 접근이 가능하고, 경주, 안동, 포항 등에서도 90분 이내로 도달할 수 있어, 영남권의 대표적인 거점 공항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구 및 경북 지역에서 유일하게 국제교류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항이기도 합니다.
대구국제공항의 역사는 1936년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일본군은 군사 목적의 활주로를 대구 동구 지저동, 도동, 입석동, 방촌동 일대에 건설하였으며, 이 활주로는 훗날 공항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이후 한국전쟁(1950~1953) 당시에는 군용 비행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뒤 민간항공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1961년 4월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가 설치되었고, 이로 인해 대구와 서울 간을 연결하는 국내선 항공편이 운항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공식적으로 대구공항이 개항한 것은 1962년이며, 같은 해 12월 대한항공이 정기적으로 취항을 시작하였습니다. 이어 1989년 10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신규로 취항하면서 항공 노선이 확대되었습니다. 1990년 6월에는 한국공항공단 대구지사가 설립되어 공항 운영의 전문성과 체계성을 더하였고, 1994년에는 일본 후쿠오카로 향하는 국제선 노선이 처음으로 개설되어 대구공항이 국제공항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1996년 2월에는 대한항공이 대구부산오사카 간 국제선 정기노선을 신설하면서 대구에서 출발하는 다양한 해외 노선이 본격적으로 운항되기 시작하였습니다. 2000년 6월에는 예비활주로가 준공되었고, 2001년 5월에는 여객청사인 대구공항 신청사가 문을 열어 공항 이용객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같은 해 중국 동방항공과 중국국제항공은 각각 대구상하이, 대구청도 노선의 정기편 운항을 개시하였습니다.
2002년에는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가 새로 설립되었고, 대구국제공항이 개항지로 공식 지정되었으며 화물청사도 함께 준공되었습니다. 또한, 공항 이용객을 위한 호텔인 ‘호텔에어포트’가 개관되어 숙박 편의도 강화되었습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예비활주로 착륙대 확장과 항공유 급유시설 설치가 이루어졌으며,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주활주로와 지하차도가 설치되는 등 인프라 확충이 꾸준히 진행되었습니다.
2014년 3월에는 저비용항공사 티웨이항공이 취항하였고, 같은 해 7월에는 제주항공이 뒤를 이어 운항을 시작하였습니다. 2016년에는 타이거에어(5월), 에어부산(6월) 등 다양한 항공사가 신규로 유치되었으며, 이에 따라 대구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노선도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같은 해 5월에는 대구대만 타이베이 노선이 개설되었고, 9월에는 대구일본 도쿄, 후쿠오카 노선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외에도 티웨이항공에서는 대구홍콩, 대구세부 노선을, 에어부산에서는 대구~후쿠오카, 삿포로, 오사카 노선을 각각 취항하면서 국제선 운항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대구국제공항의 전체 부지 면적은 6.61㎢이며, 이 중 대부분인 6.44㎢는 공군기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시설로는 2만 6,993㎡의 여객터미널, 623m × 23m 규모의 유도로, 4만 1,582㎡ 규모의 계류장, 각각 2,755m × 45m와 2,743m × 45m 길이의 두 개 활주로, 844㎡의 화물터미널, 2만 5,115㎡ 규모의 주차장 등이 있습니다. 공항 내부에는 관광안내센터, 내국세 환급 자동화기기, 약국, 은행, 편의점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장애인 이용객을 위한 화장실도 4개소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대구국제공항은 대한민국 공군과 미군, 그리고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공항으로, 군사적 중요성과 민간항공 수요를 함께 충족시키고 있는 시설입니다. 2016년 기준으로 총 1만 7,089회의 항공편이 운항되었으며, 연간 이용 여객 수는 253만 3,132명에 달하였습니다. 그 가운데 국내선 이용객은 184만 8,291명, 국제선 이용객은 68만 4,841명이었으며, 화물 운송량은 총 2만 4,340톤으로, 국내선 1만 6,380톤, 국제선 7,959톤이 운반되었습니다.
대구국제공항은 2013년 이후 여객 수송량, 화물 운송량, 운항편수 등 주요 운영 지표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 왔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운항편수는 21.4% 증가하였으며, 여객 수는 31.9%, 화물 수송량은 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대구국제공항의 직항 여객 노선은 국내선의 경우 서울(인천) 및 제주 노선이 있으며, 국제선은 중국 4개 노선, 일본 5개 노선, 홍콩 1개 노선, 타이완 1개 노선, 필리핀 1개 노선, 베트남 1개 노선이 운항 중입니다.
이처럼 대구국제공항은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과 항공사 유치, 노선 확대 등을 통해 영남권을 대표하는 국제공항으로 성장해 왔으며, 향후에도 지역의 항공수요를 담당하는 핵심 허브로서의 역할이 더욱 기대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마산 아파트 경매
- 양양공항 국제선
- 홍성 법원 경매물건
- 여수 김포 비행기시간표
- 원주 지방법원 경매물건
- 여주 아파트 경매
- 강릉 법원 경매물건 보기
- 여주 농가주택 경매
- 제천 법원 경매물건 조회
- 충주 지방법원 경매물건
- 인천 법원 경매 사이트
- 천안 법원 경매물건 조회
- 사천공항 제주도 비행기 시간표
- 원주공항 제주도 요금
- 여수 제주 비행기시간표
- 양양공항 국내선
- 공주 임야 경매
- 원주공항 제주도 항공 시간표
- 전주 지방법원 경매 사이트
- 울산공항 비행기 시간표 제주노선
- 의정부 지방법원 경매물건 보기
- 마산 주택 경매
- 청주 지방법원 경매물건 보기
- 대구공항 일본 방콕 노선
- 목포 지원 경매물건
- 청주공항 제주도항공 시간표 예매
- 청주 법원 경매 사이트
- 목포 지방법원 경매물건 보기
- 인천 지방법원 경매물건 보기
- 대구공항 국제선 노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