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양양공항 국내선 국제선 시간표 조회

 

양양공항 국제선 국내선 시간표 조회하기 ▶

 

 

양양국제공항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공항로에 위치한 국제공항입니다. 이 공항의 부지는 원래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과 한국 공군의 임시 이착륙지로 사용되었으며, 1986년부터 영동지역의 관광산업 발전과 교통 편의 개선을 위해 새로운 국제공항 건설이 추진되었습니다. 1996년 2월 기본계획이 수립된 후, 1997년 2월 착공을 시작하여 2002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이 시작되었습니다.

 



양양국제공항은 과거 결항률이 높았던 속초공항과 부족한 착륙시설을 가진 강릉공항의 기능을 통합하고, 영동지역의 중심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목표로 건설되었습니다. 공항 규모는 인천, 김포, 제주, 무안국제공항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크며, 영동지역의 거점 국제공항으로 육성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2002년 11월, 영동고속도로 강릉터널 개통으로 영동지역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고, 그 결과 양양국제공항은 이용객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개항 초기에는 하루 7회 운항되었지만, 국내선과 국제선 모두 이용 실적 부진으로 2004년 이후 대부분의 노선이 중단되었습니다. 이후에도 일부 국내선 재개와 남북한 직항 노선 개설 등의 노력은 있었으나 큰 성과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양양국제공항의 부지 면적은 약 2,448,500㎡로, 2,500×45m 크기의 활주로 1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43,000회의 항공기 운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여객터미널은 26,130㎡ 면적에 연간 317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항공기 4대가 동시에 머무를 수 있는 계류장과 498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을 갖추고 있습니다.

양양국제공항은 3,567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학포리와 동호리 일원에 건설되었으며, 2002년 4월에 개항되었습니다. 그러나 공항은 개항 이후 지속적인 적자에 시달리고 있으며, 최근에는 2007년과 2008년에 연간 100억원 이상, 2009년에는 항공기 운항이 전혀 없었던 상태에서도 72억원 규모의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후 2010년부터 김해(부산) 노선이 프로펠러기로 하루 2회 운항을 시작하면서 ‘유령 공항’ 상태에서 벗어났으나, 여전히 지방공항의 실패 사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